강조와 도치란?
영어에서 강조는 문장에서 특정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여 의미를 강조하는 방법이고, 도치는 문장의 어순을 바꾸어 특정 효과나 강조를 주는 방법입니다.
이 두 가지는 영어 표현을 더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어 줍니다.
It ~ that 강조구문
It ~ that 구문은 문장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특히 주어, 목적어, 또는 부사구 중 특정 부분을 강조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구조
- It is/was + 강조할 부분 + that + 나머지 문장
예문
- 주어 강조
- 일반 문장: John fixed the car.
- 강조 구문: It was John that fixed the car.
(차를 고친 사람이 John임을 강조)
- 목적어 강조
- 일반 문장: She bought a new dress.
- 강조 구문: It was a new dress that she bought.
(구매한 것이 드레스임을 강조)
- 부사구 강조
- 일반 문장: He met her at the park.
- 강조 구문: It was at the park that he met her.
(공원에서 만난 것을 강조)
가주어 It ~ 진주어 구문과 비교
가주어 It은 문장의 주어 역할을 대신하는 가주어로 사용되며, 진짜 주어(진주어)는 보통 to 부정사나 동명사 형태로 옵니다. 이 구조는 문장의 주어를 강조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구조
- It + be 동사 + 형용사/명사 + (for/of 주어) + to 동사원형
- It + be 동사 + 형용사/명사 + that 절
예문
- 가주어와 진주어 구문
- It is important to exercise regularly.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 It is important to exercise regularly.
- 의미상의 주어를 포함한 예문
-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exercise regularly.
(학생들에게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하다.)
-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exercise regularly.
- It ~ that 강조구문과의 차이
- 가주어: It is important that he attends the meeting.
(그가 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강조구문: It is he that attends the meeting.
(그가 회의에 참석한다는 것을 강조)
- 가주어: It is important that he attends the meeting.
의미상의 주어 (of, for 사용법)
의미상의 주어는 문장의 주된 행동이나 상태의 주체를 나타내지만 문법적으로 주어로 쓰이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 of나 for를 사용하여 주체를 명확히 표현합니다.
of 사용
- of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일 때 사용됩니다.
- 주체가 감정, 성격, 능력, 성질, 또는 실제 행동을 하는 사람일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문
- It was kind of him to help us.
(그가 우리를 도와준 것은 친절했다.) - It is foolish of you to ignore this warning.
(이 경고를 무시하는 것은 어리석다.) - It was brave of her to speak out.
(그녀가 용기를 내어 말한 것은 대단하다.)
for 사용
- for는 주어가 행동의 대상 또는 이익/피해를 받는 사람일 때 사용됩니다.
- 행동이 특정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나타냅니다.
예문
-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study hard.
(학생들에게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 It is difficult for me to understand this problem.
(내가 이 문제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 It was unusual for her to arrive late.
(그녀가 늦게 도착한 것은 드문 일이었다.)
of 와 for 비교
구분 | of 사용 | for 사용 |
---|---|---|
주체/대상 | 행동이나 상태의 주체 | 행동이나 상태의 영향을 받는 대상 |
사용 맥락 | 감정, 성격, 성질, 능력, 행동의 주체 강조 | 필요성, 중요성, 어려움, 적합성 등 대상 강조 |
예문 | It was generous of him to donate. | It is necessary for us to prepare. |
- of: “누가 이 행동을 했는가?”를 묻는 경우 사용합니다.
- for: “누구에게 이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묻는 경우 사용합니다.
연습문제
- It is kind (of/for) her to invite us.
→ of: 초대한 행동을 그녀가 했으므로. - It is essential (of/for) you to bring an ID.
→ for: ID를 가져오는 것이 너에게 필요한 일이므로.
So ~ that 강조구문
“So ~ that”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라는 뜻을 전달하며, 결과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구조
- 주어 + 동사 + so + 형용사/부사 + that + 결과
예문
- The book was so interesting that I couldn’t put it down.
(그 책은 너무 재미있어서 내려놓을 수 없었다.) - He was so tired that he couldn’t finish his homework.
(그는 너무 피곤해서 숙제를 끝낼 수 없었다.) - She speaks so quietly that no one can hear her.
(그녀는 너무 조용히 말해서 아무도 들을 수 없다.)
Too ~ to 강조구문
“Too ~ to” 구문은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라는 뜻을 전달하며, 부정적인 결과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구조
- 주어 + 동사 + too + 형용사/부사 + to + 동사원형
예문
- The box is too heavy to lift.
(그 상자는 너무 무거워서 들 수 없다.) - He was too shy to speak in public.
(그는 너무 수줍어서 대중 앞에서 말할 수 없었다.) - It is too late to go out now.
(지금 나가는 것은 너무 늦었다.)
So ~ that 구문을 Too ~ to 구문으로 바꾸기
“So ~ that” 구문을 “Too ~ to” 구문으로 변환하여 같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변환은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 때 유용합니다.
예문
- So ~ that
- He was so tired that he couldn’t work.
(그는 너무 피곤해서 일을 할 수 없었다.)
- He was too tired to work.
- He was so tired that he couldn’t work.
- So ~ that
- The problem was so difficult that I couldn’t solve it.
(그 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해결할 수 없었다.)
- The problem was too difficult to solve.
- The problem was so difficult that I couldn’t solve it.
- So ~ that
- She speaks so loudly that everyone can hear her.
(그녀는 너무 크게 말해서 모두가 들을 수 있다.)
- She speaks too loudly for everyone to hear her.
- She speaks so loudly that everyone can hear her.
주의: “Too ~ to” 구문으로 변환할 때는 상황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약간 변할 수 있으므로, 맥락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도치의 종류
도치는 문장의 기본 어순을 바꾸어 강조하거나 문장을 더 세련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여러 가지 도치의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사용법과 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부정어 도치
부정어(never, rarely, hardly, no sooner 등)가 문장 맨 앞에 올 때 도치가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부정어의 의미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예문
- 일반 문장: I have never seen such a beautiful sunset.
- 도치 문장: Never have I seen such a beautiful sunset.
- 일반 문장: She rarely goes to the gym.
- 도치 문장: Rarely does she go to the gym.
부사구 도치
부사구가 문장 앞에 올 때 도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소, 시간, 방향 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 일반 문장: He sat under the tree.
- 도치 문장: Under the tree sat he.
- 일반 문장: At dawn, the birds start singing.
- 도치 문장: At dawn start the birds singing.
의문사 도치
의문사(what, where, when, why, how 등)로 시작하는 질문에서는 도치가 필수적입니다.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뀝니다.
예문
- Where is your bag?
(너의 가방은 어디에 있니?) - How did she manage to do that?
(그녀는 그것을 어떻게 해냈니?)
대동사 도치
대동사(do, be, have 등)와 함께 도치가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질문이나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 일반 문장: I like coffee, and so does she.
- 도치 문장: So does she like coffee.
- 일반 문장: They have finished their work, and so have we.
- 도치 문장: So have we finished our work.
보어 도치
보어가 문장의 앞에 올 경우 주어와 동사가 도치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어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예문
- 일반 문장: A good man is he.
- 도치 문장: Good is the man.
- 일반 문장: Such a beautiful view is breathtaking.
- 도치 문장: Breathtaking is such a beautiful view.
Here, There 도치
문장 앞에 Here나 There가 올 때 도치가 발생합니다. 이는 주로 장소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 Here comes the bus.
(버스가 여기 온다.) - There goes the bell.
(종이 울려 퍼진다.)
관용적 도치
특정 관용적 표현에서도 도치가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문학적 표현이나 강한 강조를 위해 사용됩니다.
예문
- Little did I know about the surprise party.
(그 서프라이즈 파티에 대해 나는 전혀 몰랐다.) - Only after he left did she realize the truth.
(그가 떠난 후에야 그녀는 진실을 깨달았다.)
연습문제
1. 일반 문장을 강조구문으로 바꾸세요.
- She met him at the station.
- He solved the problem quickly.
2. 부정어 도치를 이용해 문장을 바꾸세요.
- I have never seen such a beautiful sunset.
- She rarely goes to the gym.
3. 다음 문장을 So ~ that과 Too ~ to 구문으로 각각 작성하세요.
- The box is heavy, so I can’t lift it.
- She speaks loudly, so everyone can hear her.
- He was tired, so he went to bed early.
4. 도치 문장으로 바꾸세요.
- I have hardly finished my homework.
- She can barely wait for the concert to start.
5. It ~ that 강조구문을 사용하여 문장을 작성하세요.
- John is the one who called you.
- The meeting was held in the main hall.
답
1-1. It was at the station that she met him.
1-2. It was quickly that he solved the problem.
2-1. Never have I seen such a beautiful sunset.
2-2. Rarely does she go to the gym.
3-1.
- So ~ that: The box is so heavy that I can’t lift it.
- Too ~ to: The box is too heavy to lift.
3-2.
- So ~ that: She speaks so loudly that everyone can hear her.
- Too ~ to: She speaks too loudly for everyone to hear her.
3-3.
- So ~ that: He was so tired that he went to bed early.
- Too ~ to: He was too tired to stay awake.
4-1. Hardly have I finished my homework.
4-2. Barely can she wait for the concert to start.
5-1. It is John that called you.
5-2. It was in the main hall that the meeting was held.
정리
- 강조구문(It ~ that)은 특정 부분(주어, 목적어, 부사구 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 가주어 It ~ 진주어 구문은 자연스러운 문장 구성을 위해 진주어(to 부정사나 동명사)를 뒤로 보냅니다.
- 의미상의 주어는 주체를 명확히 하기 위해 of(행동의 주체)와 for(행동의 대상)를 구분해 사용합니다.
- So ~ that과 Too ~ to는 결과를 강조하며 서로 변환 가능합니다.
- 도치구문은 어순을 바꾸어 강조하며, 부정어, 부사구, 의문사, 대동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