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법] Part 41. 수 일치

수 일치란?

수 일치(Subject-Verb Agreement)란 문장에서 주어동사의 수(단수 또는 복수)가 일치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합니다. 이는 영어 문법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요소로, 주어의 형태에 따라 동사의 형태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를 정확히 이해하면 문장을 더 쉽게 읽고 해석할 수 있으며, 문장 끊어읽기가 수월해집니다.

예를 들어:

  • 단수 주어: The cat runs fast. (그 고양이는 빠르게 달린다.)
  • 복수 주어: The cats run fast. (그 고양이들은 빠르게 달린다.)

위 예시에서 주어의 수에 따라 동사 run의 형태가 runs(단수)와 run(복수)으로 달라집니다.


3인칭 단수 주어와 수 일치

3인칭 단수 주어he, she, it 또는 단수형 명사를 가리킵니다. 이때 현재시제의 동사는 동사 원형에 -s나 -es를 붙여 사용합니다.

일반 동사: 동사 원형 + -s

동사 원형3인칭 단수형
playplays
readreads
cookcooks

-sh, -ch, -s, -x, -o로 끝나는 동사: 동사 원형 + -es

동사 원형3인칭 단수형
washwashes
watchwatches
gogoes
fixfixes
passpasses

자음 + -y로 끝나는 동사: -y를 -i로 바꾸고 -es 추가

동사 원형3인칭 단수형
studystudies
trytries
carrycarries

모음 + -y로 끝나는 동사: 동사 원형 + -s

동사 원형3인칭 단수형
playplays
enjoyenjoys
staystays

be동사 변화

주어현재형 be 동사
Iam
He/She/Itis
You/We/Theyare

수 일치와 상관접속사

상관접속사(Correlative Conjunctions)는 쌍으로 사용되어 두 요소를 연결하는 접속사입니다. 대표적인 상관접속사로는 either…or, neither…nor, not only…but also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관접속사를 사용할 때 수 일치 규칙은 동사는 두 번째 주어(동사에 가까운 주어)에 수 일치시킨다는 것입니다.

상관접속사 수 일치 규칙

  • 동사는 두 번째 주어(동사와 가까운 주어)에 수 일치한다.
상관접속사예시 문장동사 형태
Either…orEither the manager or the employees have arrived.have
Neither…norNeither the students nor the teacher is present.is
Not only…but alsoNot only the parents but also the child was excited.was
  • 예시 설명:
    • 첫 번째 예시에서 employees가 복수이므로 동사 have를 사용합니다.
    • 두 번째 예시에서 the teacher가 단수이므로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 세 번째 예시에서 the child가 단수이므로 동사 was를 사용합니다.

수 일치와 병렬구조

병렬구조(Parallel Structure)에서 나열되는 주어들은 동사의 수 일치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and)로 연결된 주어들은 복수 주어로 간주되어 동사는 복수 형태를 취합니다.

병렬구조 수 일치 규칙

  • and로 연결된 주어들은 복수로 취급한다.
주어동사 형태예시 문장
Tom and Jerry복수Tom and Jerry are friends.
The book and the pen복수The book and the pen are on the table.
  • 주의사항: 동격이나 단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단수 동사를 사용합니다.
    • Bread and butter is my favorite breakfast. (빵과 버터는 내가 좋아하는 아침 식사이다.)

추가적인 수 일치 규칙

집합명사(Collective Nouns)

집합명사는 단수형이지만 복수의 구성원을 포함하는 명사입니다. 예를 들어, family, team, audience 등이 있습니다. 이들 명사는 영국 영어에서는 문맥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동사를 사용할 수 있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수 동사를 사용합니다.

  • 예시:
    • The team is winning. (미국 영어)
    • The team are celebrating their victory. (영국 영어)

불규칙 복수형 명사

몇몇 명사는 형태는 단수이지만 복수 의미를 가지거나, 복수형으로 보이지만 단수 의미를 갖는 경우가 있습니다.

  • 단수형이지만 복수 의미: people, police
    • The police are investigating the case.
  • 복수형처럼 보이지만 단수 의미: news, mathematics, physics
    • The news is shocking.

주어 뒤에 오는 수식어구

주어 뒤에 전치사구나 수식어구가 오더라도 동사는 주어에 일치시킵니다.

  • 예시:
    • The bouquet of flowers is beautiful. (꽃다발은 아름답다.)
    • The list of items needs to be updated. (항목 목록은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연습문제

1. 다음 문장에서 올바른 동사 형태를 선택하세요.

a) Either the boys or the girl (is / are) responsible.

b) The dog and the cat (likes / like) to play together.

c) Neither he nor his friends (was / were) at the party.

정답:

a) is

  • 설명: 동사는 가까운 주어 the girl에 일치하므로 is를 사용합니다.

b) like

  • 설명: and로 연결된 주어는 복수로 취급하므로 like를 사용합니다.

c) were

  • 설명: 동사는 가까운 주어 his friends에 일치하므로 were를 사용합니다.

정리

  • 수 일치란 주어와 동사의 수(단수, 복수)가 일치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 주어를 먼저 찾고, 그 주어에 동사를 일치시키세요.
  • 수식어구전치사구에 현혹되지 말고, 주어의 수에 집중하세요.
  • 상관접속사병렬구조에서는 연결된 주어들의 수에 따라 동사를 결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