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란?
조동사는 본동사 앞에 위치하여 문장의 의미를 보조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하는 동사입니다. 조동사는 본동사에 능력, 가능성, 허락, 의무, 추측 등의 의미를 더해주며, 문장의 의미를 더욱 구체화합니다. 조동사에는 주로 can, could, may, might, will, would, shall, should, must 등이 포함되며, 조동사 뒤에는 항상 동사 원형이 따라옵니다.
조동사는 부정문과 의문문을 만들 때에도 주로 사용됩니다.
조동사의 종류와 용법
can과 be able to의 차이
- can: 현재 시제에서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며,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 I can swim. (나는 수영을 할 수 있다.)
- I can swim. (나는 수영을 할 수 있다.)
- be able to: 능력을 나타내는 can과 유사하지만, 다양한 시제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She will be able to join us. (그녀는 우리와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차이점: can은 현재 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be able to는 다양한 시제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과거나 미래의 능력을 표현할 때 더 유용합니다.
will과 be going to의 차이
- will: 즉흥적인 결심이나 미래의 확신을 나타내며, ~할 것이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 I will call you later. (나중에 전화할게.)
- be going to: 이미 계획된 미래의 일이나 근거 있는 예측을 나타냅니다.
- She is going to travel next week. (그녀는 다음 주에 여행을 갈 예정이다.)
차이점: will은 갑작스러운 결정이나 확신을 표현할 때 사용되고, be going to는 이미 정해진 계획이나 확실한 예측에 사용됩니다.
must, should, have to의 차이
- must: 강한 의무나 필수 사항을 나타내며, 주로 내적인 규칙이나 주관적인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 You must wear a mask here. (여기서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합니다.)
- should: 조언이나 권장을 나타내며, ~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You should eat more vegetables. (야채를 더 먹는 것이 좋다.)
- have to: 외부 요인에 의해 주어지는 의무를 나타내며, 규칙이나 상황에 의해 해야 할 일을 나타냅니다.
- I have to finish this by tomorrow. (나는 내일까지 이것을 끝내야 한다.)
차이점: must는 내적 의무를 강조하고, have to는 외부적인 이유에 의해 해야만 하는 의무를 나타냅니다. should는 강한 의무보다는 권고나 조언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추가 조동사 용법
may (허락과 추측)
- 허락: ~해도 된다는 허락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May I sit here? (여기 앉아도 될까요?)
- May I sit here? (여기 앉아도 될까요?)
- 추측: ~일지도 모른다는 의미로도 쓰이며,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It may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지도 모른다.)
could와 would의 차이
- could: can의 과거형으로, 과거의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며 정중한 요청이나 허락을 표현할 때도 쓰입니다.
- Could you pass the salt? (소금을 건네주시겠어요?)
- Could you pass the salt? (소금을 건네주시겠어요?)
- would: will의 과거형으로, 정중한 요청이나 가정법 표현에 자주 사용됩니다.
- Would you like some tea? (차 한 잔 드시겠어요?)
차이점: could는 과거의 능력이나 가능성, 정중한 요청을 나타내고, would는 가정적인 상황이나 예의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shall
- shall: 주로 1인칭(I, we) 주어와 함께 사용되며 제안이나 의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Shall we dance? (우리 춤출까요?)
- I shall return. (나는 돌아올 것이다.)
조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
조동사는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정문은 조동사 뒤에 not을 추가하고, 의문문은 조동사를 주어 앞에 위치시켜 구성합니다.
- 부정문:
- I can swim. → I cannot (can’t) swim. (나는 수영을 할 수 없다.)
- She will come. → She will not (won’t) come. (그녀는 오지 않을 것이다.)
- 의문문:
- You can speak Spanish. → Can you speak Spanish? (스페인어를 할 수 있나요?)
- They should study. → Should they study? (그들은 공부해야 하나요?)
예문으로 알아보는 조동사의 활용
조동사 | 예문 | 해석 |
---|---|---|
can | Can you drive? | 운전할 수 있나요? |
be able to | She will be able to attend the meeting. | 그녀는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 것이다. |
may | May I come in? | 들어가도 될까요? |
might | She might be late. | 그녀는 늦을지도 모릅니다. |
will | He will be there soon. | 그는 곧 그곳에 도착할 것입니다. |
be going to | I am going to start a new job. | 나는 새로운 일을 시작할 예정이다. |
must | You must follow the rules. | 반드시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
have to | I have to finish my homework. | 나는 숙제를 끝내야 한다. |
would | Would you like some coffee? | 커피 좀 드실래요? |
정리
- 조동사는 본동사 앞에 위치해 능력, 가능성, 허락, 의무, 추측 등의 의미를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can과 be able to는 능력을 나타내지만, can은 현재 시제에서 주로 쓰이고, be able to는 다양한 시제에서 사용됩니다.
- will은 즉흥적 결심, be going to는 계획된 미래를 나타내며, 확실한 예측에 사용됩니다.
- must는 주관적인 의무, have to는 외부 요인에 따른 의무, should는 권고나 조언을 나타냅니다.
- may는 허락과 가능성을, could와 would는 정중한 요청이나 가정법에 자주 쓰입니다.
- shall은 1인칭 주어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제안이나 의지를 나타냅니다.